2023.01.11 Section3 가 종료되었다.
Section3 에서는
Spring MVC[API 계층], [서비스 계층], [데이터엑세스 계층], Spring Data JDBC, Spring JPA,
Spring Data JPA, Spring 트랜잭션, Spring MVC 테스팅, API 문서화, 애플리케이션 빌드를 학습했다.
[목표]
1. 학습 함에 있어서 조바심, 좁은 시야 개선하기
2. 코드 구현 및 동작의 흐름을 이해하기
3. 어떠한 필드의 개발자가 되고 싶은지 정하기
4. 3번을 정하면 그 직군에 필요한 점과 내가 가진 장점들에 대해 생각해보기
< KPT 회고>
[Keep]
1. 학습하면서 학습 내용 정리, 정리한 부분을 다시 재검토하여 블로깅 포스팅 하려는 습관
2. 어려운 부분에 대해 따로 메모해서 돌이켜보는 습관
3. 매일 학습한 내용을 정리하고 다음날 follow up 해야하는 학습 계획표를 정하는 것.
[Problem]
1. 스스로 정한 기간을 지키지못해 학습 계획에 딜레이 발생.
2. 늦은 시간까지 학습하는 것만으로 다음날 학습에 지장이 가는데
바로 잠들지 않고 이것저것 하느라 나쁜 컨디션의 반복.
3. 학습 계획을 구성함에 있어 냉철하게 우선순위를 나누어 계획하지 않아 학습 방향성을 잃음.
[Try]
하루 하루 행해질 행동들에 철저히 효율적인 우선 순위를 정하기.
[느낀점]
이번 섹션에서는 정말 말그대로 부끄럽게도
마라톤 중에 다리에 힘이 풀려 쓰러져가는데 동기들이 멱살잡고 끌어준 덕에 겨우 겨우 완주한 형태였다.
학습 중간 중간에 있는 실습 제출 기간이 있음에도
머리로 이해하고나서야 손이 움직이는 느린 습성 때문에 제출 기간을 맞춘적도 없고
심지어 섹션3가 종료된 지금까지 밀린 부분들이 많다.
섹션2에서 배웠던 개념들이 머리에 단단히 자리 잡기도 전에
실제로 코드를 구현하고 클래스간의 관계도를 구상하는 내용들은 혼란 그 자체였다.
정리도 못끝냈는데 다음 진도를 마주하여 발생하는 스노우볼들의 악순환이 반복되니 번아웃이 올 것 같았다.
하지만 감사하게도 동기분들이 나의 부족한 학습에 도움을 주었고
심지어 개인 시간을 1-2시간씩 할애하여 개인 튜터를 해주어서
말그대로 멱살 캐리를 해주었다. (윤*현님, 강*은님, 김*소님)
학습하는 내용을 예제만 쳐보는게 아니라 무에서 머리로 생각하며 작성하는 과정을 거치면서
개념을 견고히하고 코드들과 익숙해지는 그런 과정의 중요성을 깨닫게 해주었던 섹션3.
후련하게 적는것 같지만 지금 이순간에도 포스팅해야할 것, 실습 제출해야할 것들이 산더미 처럼있다.
PS
여전히 주말이 기다려지지만 예전처럼 쉴 수 있는 날이라 기다려지는 것이 아닌,
다음 진도 걱정 없이 밀린 학습에 전념할 시간을 벌 수 있어서 기다려진다는게 웃프다......
'백엔드 학습 과정 > Section 3 [Spring MVC, JDBC, JPA, RestDo' 카테고리의 다른 글
Rest Client, RestTemplate이란 ? (0) | 2023.04.23 |
---|---|
#10. 애플리케이션 빌드 (0) | 2023.01.14 |
#9. API 문서화 (0) | 2023.01.14 |
#8. Spring MVC 테스팅 (0) | 2023.01.11 |
#7. Spring MVC 트랜잭션 (0) | 2023.01.11 |